본문 바로가기
CI & CD/JENKINS

Docker Jenkins 설치

by holy season 2023. 10. 2.
반응형

Docker-Compose.yaml 정의

docker-compose.yaml파일에 컨테이너 이름을 test_jenkins, port 9080->8080으로 바인드 하고 /var/jenkins_home 폴더를 home volume에 바인드하도록 정의하였다.

version : "3"

services:
  jenkins:
    container_name: "test_jenkins"
    image: "jenkins/jenkins:lts"
    ports:
      - "9080:8080"
    volumes:
      - home:/var/jenkins_home
    restart: unless-stopped

volumes:
  home:

docker compose up -d 명령어로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이 [폴더경로]_home 볼륨이 생기고 test_jenkins 컨테이너가 생긴것을 확인할 수 있고 docker ps 명령어로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의 목록으로 정의한 jenkins 컨테이너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초기 설정

http://localhost:8080에 접속화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비밀번호는 docker 컨테이너 안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를 확인하면 초기 비밀번호를 찾아낼 수 있다.

윈도우용 docker-Desktop을 사용하여 volume을 home:/var/jenkins_home으로 설정하였으므로 Docker-Desktop 응용프로그램 volumes 에서 [폴더경로]/_home을 확인하면 초기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비밀번호를 처음 접속했던 화면에 복사 붙여넣기하고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Install suggested plugins를 선택하고 진행하면 plugin 설치가 진행된다.

User를 설정하고 진행하면 된다.

User를 설정하지 않고 Skip한 경우에는 Admin 계정으로 초기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로그인할 수 있다.

Jenkins의 URL을 설정하는 부분인데 딱히 건드릴 필요가 없으므로 저장하고 마무리 한다.

설정 완료 화면

설정이 완료 되었으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CI & CD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war 파일 mybatis관련 xml 파일 생성법  (0) 2023.10.04
JENKINS  (1) 2023.09.26